해당 글은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 된 글을 가져와 재구성중인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pysung0409/220980727781)



부득이하게 이번 내용도 숫자를 바꾸기 어려워서 크게 고치지 않았습니다.











1. 화학의 기초




 단위 인자










Q. 고양이의 길이가 10.2 in 이다. 몇 cm 인가?



in(인치)는 길이의 단위로, 1 in = 2.54 cm 에요.




1인치가 2.54cm 니까 10.2인치면 10.2 X 2.54 =25.908, 한 25.9cm 쯤 되는구나 생각하게 되는데




이렇게 어림짐작 말고 정확한 수식으로 나타낼 때 단위인자를 사용합니다.





단위인자를 사용하는 쉬운 방법은 단위를 숫자나 기호처럼 인식하는 거에요.









1in%3D2.54cm%20 




위 식에서 양변을 2.54 cm 로 나누면



%5Cfrac%20%7B%201in%20%7D%7B%202.54cm%20%7D%3D%5Cfrac%20%7B%202.54cm%20%7D%7B%202.54cm%20%7D%3D%5Cquad%201%20




이때, 



%5Cfrac%20%7B%201in%20%7D%7B%202.54cm%20%7D%3D1%20




이것이 단위인자, 혹은 단위 환산 인자 입니다. 위 값은 1과 같기 때문에 단위를 바꿀때 자유롭게 넣어 쓸 수 있습니다.



이는 분모와 분자를 바꾸어도 그대로 적용되겠지요?




%5Cfrac%20%7B%202.54cm%20%7D%7B%201in%20%7D%3D1%20 








위 문제를 다시 봅시다. 10.2 인치는 몇 센티미터일지 계산해봅니다.




10.2in%5Ctimes%20%5Cfrac%20%7B%202.54cm%20%7D%7B%201in%20%7D%3D10.2%5Ctimes%202.54cm%5Cquad%20%3D%5Cquad%2025.908cm%20 



10.2 in의 in와 1 in의 in 가 소거되어 cm의 단위만 남게 됩니다.















단위환산을 자유롭게 하는 팁은




⑴ 계산시 항상 단위를 적는다.



 단위도 하나의 숫자나 기호처럼 생각하고 계산한다.








해당 글은 네이버 블로그에 포스팅 된 글을 가져온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pysung0409/220976332442)



이번 내용은 숫자를 바꾸기 쉽지 않아서 거의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 유효숫자의 계산 방법 








1. 유효숫자 세는 방법






================================================================================



① 0이 아닌 정수는 모두 유효숫자


  ex) 778.32 → 유효숫자 : 7,7,8,3,2



================================================================================



② 숫자 앞부분에 오는 0은 유효숫자가 아님


  ex) 0.014 → 유효숫자 :1,4



 위의 숫자는 1.4%5Ctimes%20%5Ccombi%20%5E%7B%20-2%20%7D%7B%2010%20%7D%20 라고 나타낼 수 있어요(지수표기법).




================================================================================




③ 숫자 가운데에 오는 0은 유효숫자


  ex) 481.021 → 유효숫자 : 4,8,1,0,2,1




================================================================================



④ 숫자 끝에 오는 0은 소수점일 경우에만 유효숫자


  ex) 0.023010 → 유효숫자 : 2,3,0,1,0


  ex) 1990 → 유효숫자 : 1,9,9






※ 숫자 끝에 오는 0이 소수점이 아닌 경우, 유효숫자인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100 같은 경우가 있어요. 

백의자리의 1은 확실히 유효숫자입니다.

십의자리인 0은 유효숫자가 아닙니다.

일의자리인 0은 유효숫자인지 알 수 없어요.




================================================================================




⑤ 완전수 - 직접 세거나, 정의에 의해 정해지는 수



  완전수는 유효숫자의 계산에서 고려하지 않아요.


  ex) 공 5개

       1인치 = 2.54cm    → 마치 기호처럼, 그대로 사용해요.



================================================================================



















2. 유효숫자 계산 규칙






================================================================================




① 곱셈, 나눗셈


   → 유효숫자의 개수가 가장 적은값 에 맞춥니다.




즉, 계산 중에 가장 낮은 유효숫자의 개수 = 결과값의 유효숫자 개수







ex)


4.45%5Ctimes%202.4%3D10.68%5Cquad%20%5Cto%20%5Cquad%2011%20


2.4의 유효숫자가 2개이므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도 2개로 맞춰줍니다.






6.05%5Ctimes%20%5Ccombi%20%5E%7B%20-3%20%7D%7B%2010%20%7D%5Cdiv%205.154%3D1.1738455...%5Ctimes%20%5Ccombi%20%5E%7B%20-3%20%7D%7B%2010%20%7D%5Cquad%20%5Cquad%20%5Cto%20%5Cquad%201.17%5Ctimes%20%5Ccombi%20%5E%7B%20-3%20%7D%7B%2010%20%7D%20



6.05의 유효숫자가 3개이므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도 유효숫자 3개로 맞춰줍니다.









================================================================================





② 덧셈, 뺄셈 



   → 정밀도가 가장 낮은값 에 자리를 맞춰줍니다.



즉, 소수점 아래 숫자가 제일 적은 값에 맞춥니다.





ex)


33.1-5.002%2B7.44%3D35.538%5Cquad%20%5Cquad%20%5Cto%20%5Cquad%203.6%20 


33.1이 소수점 아래 숫자가 하나로 가장 낮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어요.



그러므로 결과값도 소수점 아래 숫자를 하나로 맞춰줍니다.







================================================================================





③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혼합 



   → 사칙연산 순서대로 계산하며, 과정마다 따로 위의 유효숫자 계산하는 규칙에 따라 계산해요.








ex)



5840.3-(740.25%5Cdiv%203.4)%3D%3F%20 



일단 괄호부터 계산합니다. 740.25/3.4 = 217.7205... 입니다.



곱셈의 유효숫자 규칙에 따라 계산합니다. 3.4의 유효숫자가 2개이므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도 2개로 맞춰줘요.



즉, 740.25/3.4 = 220 입니다.






5840.3-220%3D5620.3%5Cquad%20%5Cto%20%5Cquad%205620%20 




이제 뺄셈의 유효숫자 규칙에 따라 계산합니다.



220이 소수점 아래 한자리도 없으므로, 소수점 자리를 220에 맞춰요.



즉, 5620.3 → 5620 입니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블로그에 쓰던 내용을 재정리한 글입니다.


(http://blog.naver.com/pysung0409/220976311386)




1. 화학의 기초






① 측정의 불확실성



 유효숫자 (★)








시험관에 물이 들어있는 그림입니다. 몇 ml 일까요?

65? 66? 잘 안보이니까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 라 생각하게 됩니다.










 그럼 더 정확하게 보기위해 확대해봤어요. 몇 ml 일까요?

65ml 보다는 더 많은데 몇인지 모르겠네요. 65.5? 66? 66.5?



 계속 확대해도 마찬가지입니다. 100% 정확한 측정이란 있을 수 없어요. 하지만 눈금이 더 정확해지면 조금 낫겠죠. 최소한 1ml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면 65.x 인지 66.x 인지는 알 수 있겠지요?




 과학에서는 이렇듯 100% 정확한 측정은 할 수 없기에 어디까지는 믿어도 되는 숫자입니다 하는 개념을 만들었어요. 이게 바로 유효숫자 입니다. 다시 말해, 유효숫자란 측정값이나 계산값에서 오차를 생각해도 믿을 수 있는 숫자에요.




 구체적으로는, 항상 확실한 자릿수 + 불확실한 첫번째 자릿수 까지가 유효숫자입니다.




그림이 엉망인건 죄송합니다 ㅠㅠ




 이번엔 1ml 단위까지 있습니다. 다섯명한테 물이 몇 ml 있나요? 물어보니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65.2ml / 65.1ml / 65.0ml / 65.1ml / 65.1ml




 이렇게 대답할 만 합니다. 정확하게 보이지는 않으니까요. 평균값은 65.1 ml 겠네요.


이때, 항상 확실한 숫자인 6,5와 불확실한 한자리 수 까지(각각 2,1,0,1,1)를 유효숫자 라고 합니다. 

(단, 0은 유효숫자인지 불확실합니다. 밑에 설명할께요)







---------------------



 문제로는 어디까지가 유효숫자인지, 혹은 유효숫자를 어떻게 계산하는지가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유효숫자가 가지는 의미가 더 중요해요.




측정값 40ml 와 40.00ml 는 차이가 엄청나게 납니다.


40ml 라는건 39.9ml와 40.1ml 사이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40.00ml는 39.99ml와 40.01ml 사이임을 의미해요. 훨씬 정밀하지요?





---------------------



유효숫자의 계산법은 바로 다음글에 따로 정리합니다!











⑵ 정밀도, 정확도 





측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정밀도], [정확도]가 있습니다.




정밀도는 측정을 반복했을때 측정값끼리 얼마나 비슷한가?


정확도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가?







과녁 그림으로 예를 들어볼께요.




(a)      (b)


그림이 이상해도 알아봐주세요..






측정값 5개가 있어요. 정중앙이 예상되는 참값입니다.



(a)는 측정값끼리는 안비슷한데, 참값과 비교적 가깝지요? 정확도가 높습니다.



(b)는 측정값끼리는 거의 같은데, 참값이랑은 멀어요. 정밀도가 높습니다.






 실제 실험을 해보면, 예상되는 이론적인 값이 있지요? 뭐 10.0ml 가 나올것이다, 예상을 했습니다.

근데 실험을 실제 해보면 정확도가 높을때도, 정밀도가 높을때도 있어요. 보통 둘다 낮지만..




 정확도가 높으면 좋은 실험이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정밀도가 높을때 좋은 실험일 경우가 많습니다.

정밀도가 높은건 오차를 만드는 특정한 원인이 있어서 그것만 고치면 되는 경우가 많아서에요.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오차의 종류를 알아봅시다!











(3) 우연 오차, 계통 오차




 오차는 우연 오차(random error)와 계통 오차(systematic error)가 있습니다. 영어로 이해하는게 더 쉽네요.





 우연 오차란 영어 그대로 랜덤입니다. 이건 어떻게 고칠수가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기기로 실험해도 소수점 마지막 자리는 매번 같기 어렵지요. 이는 보정할 수 없는 오차로, 실험시 손떨림, 공기의 흐름 등 어쩔 수 없는 원인으로 생깁니다.





 우연 오차는 고칠 수 없으므로, 시행횟수를 늘려 평균값을 내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고칩니다.




 계통 오차는 오차가 특정한 원인이 있는 경우입니다. 굳이 나누자면 외부환경의 요인으로 인한 외계 오차,
기계 자체의 오차인 기계 오차, 실험자의 문제로 나타나는 개인 오차 로 나눌 수 있지만..



 계통 오차는 오류가 나는 이유가 있으므로, 통계적 방법으로 고치지 않습니다. 그 정확한 원인을 알아내서 고칩니다. 뷰렛을 거꾸로 읽고 있었거나, 비커 눈금이 이상했거나, 기기를 잘못 사용했거나 등등.. 원인을 고치면 되겠지요!








--------------------------



 아까 설명했듯이, 정확도가 높은 경우보다 정밀도가 높은 경우, 실험이 더 성공적일 수 있습니다.


정밀도가 높은건 참값이랑은 멀지만, 실험의 수행 자체는 잘 되고 있는거에요. 예를 들어볼께요.







 실험시 결과가 15.0ml 가 나올것으로 예상되는 실험을 A, B 두 그룹이 합니다.

A그룹은 5번 실험한 결과 모두 22.0ml 가 나왔고,

B그룹은 14.0ml, 17.0ml, 18.5ml, 13.4ml, 15.2ml 가 나왔어요.






정확도는 B그룹이 높습니다. 값들이 A그룹에 비해 모두 15.0ml 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정밀도는 A그룹이 높습니다. 이 경우, A그룹이 실험중 어떤 특정한 원인에 의해 7ml 더 높은 결과를 얻었을 가능성이 높겠지요? 실험 자체는 잘했기에 값들이 5번이나 똑같게 나왔겠지요. 즉, 원인을 찾아 고쳐서 다시 실험하면 잘 될 가능성이 높아요.








대학교 부전공 수준의 일반화학 과정으로 갈 계획이에요.



초반엔 네이버 블로그에서 쓰던 글을 따오는 형태로 쓸께요.

(http://blog.naver.com/pysung0409/220975350009)











1. 화학의 기초






거시세계 vs 미시세계 




 화학은 '물질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에서 시작했어요. 물질을 쪼개면 기본이 되는 단위가 있을거라 생각했고, 그걸 [원자]라고 정했지요. 현미경의 발달로 더 자세한 관측이 가능해지며 실제 원자를 관측 가능하게 되었어요.



 원자를 직접 관찰하는것은 성공했지만, 원자는 현실에서 움직이듯이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현실에서 바라보는 세상은 [거시세계] 라고 불러요. 축구를 하고, 밥을 먹고, 이 글을 읽는 모든 일들은 거시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이에요.




 하지만 더 자세히 바라보면 다른 세상이 있어요. 축구하는 잔디밭을 생각해봅시다. 잔디밭은 흙들이 있고, 더 자세히는 흙알갱이 하나하나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 흙알갱이 하나는 더 작은 무언가로 이루어져 있겠죠. 흙은 실제로 규소(Si) 산소(O)가 결합해 있어요. 이때 이 작은 단위들을 원자라고 불러요.



 그리고 이러한 작은 원자들이 구성하는 세상을 [미시세계] 라고 합니다. 미시세계는 우리가 생각하는대로 움직이지 않았어요. 미시세계에서 축구공을 차면, 앞으로 날아가지 않고 어디로 갈지 몰라요. 우리가 사는 거시세계에서는 생각할 필요가 없는 작은 힘들이 미시세계에서는 아주 큰 힘으로 작용합니다.



 화학을 공부할때 중요한 포인트는, 미시세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맞추는거에요.








 ② 원자 



 위에서 보았듯 원자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입니다. 신기한건 우주 전체를 구성하는 모든 원자의 종류는 약 100여개밖에 되지 않아요. 이 원자들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에 따라 물질이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 정해집니다.

 쉬운 예로 물을 들께요. 물은 수소원자 2개와 산소원자 하나로 이루어져 그림처럼 연결되어 있어요.




물분자


(산소원자- 수소원자- )



 이때 산소원자 하나와 수소원자 2개가 결합한것을 물분자라고 부릅니다. 분자원자가 결합하여 물질의 성질을 가지는 가장 작은 단위에요.




위의 물분자에 전류를 흘려주면 물분자는 산소와 수소로 나뉘어요. 자연상태에서는 보통 분자로 존재하는게 안정해요. (솔로보다 부부가 안정적이듯이)


                   
산소분자    수소분자  









③ 과학적 사고




과학적 사고어떤 사실을 일정한 형태의 정보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해요. 

이런 일정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학적 방법이 있어요. 관찰, 가설, 실험의 3단계입니다.



아주 쉽게 고양이로 예를 들어봅시다.




-------------------
 
관찰 - 우리집 고양이는 평소엔 잠만 자다가 [간식]이라는 단어가 들리면 야옹거리며 반응한다.

가설 - 간식이라는 단어에 반응하는 것이다.

실험 - 고양이에게 바보, 강아지, 게임, 간식 네 단어를 반복하여 말해 간식이라는 단어에만 반응하는지 알아본다.

-------------------



해봤더니 간식이라는 단어에 특정하여 반응했어요. 그럼 다른 가설을 세워봅니다. 간식이라 말할때 특정 억양이 있는가? 표정을 찡그리며 말해도 반응하는가? 등등.. 이런 사고들이 모두 과학적 사고라 할 수 있어요.










④ 측정 단위 





 외국인 친구가 고양이를 키워요. 고양이 장난감 얘기를 하다가 그 장난감 얼마야? 하고 물어봤어요. 친구가 이거 200달러쯤 해, 라고 대답했어요. 나는 20만원이 넘는구나, 생각했지만 친구는 홍콩 달러를 말한거였네요. 3만원도 안하는 장난감이었어요.




 이렇듯 각 나라마다 쓰는 단위들이 달라요. 과학에서는 이러한 단위의 차이로 착각하는 경우를 줄이기 위해 기준이 되는 단위를 정했는데, 그게 [국제 단위계(SI계)] 입니다.




SI 단위 몇가지만 보면,


----------

질량 - 킬로그램(kg)

길이 - 미터(m)

시간 - 초(s)

온도 - 켈빈(K)

전류 - 암페어(A)

물질의 양 - 몰(mol)


-----------


등이 있습니다.









 질량과 무게




 빈번하게 쓰는 용어중에 [질량]과 [무게]가 있어요. 우린 거의 똑같게 쓰지만 실제로는 달라요.



 질량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킬 때 물체 자체의 저항 입니다. 질량은 그 물체의 고유한 값이에요.

 무게그 물체를 움직일때 드는 힘 입니다. 다시 말해 무게는 땅이 그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이에요.




 지구에서나 달에서나 고양이의 질량은 같아요. 하지만 지구에서는 7kg 이고, 달에서는 2kg도 안나가요.
그건 지구의 중력이 달의 6배나 나가기 때문이에요. 지구가 고양이를 더 강하게 잡아당겨서 무게가 더 많이 나가기에 고양이를 들고있기 힘들겠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