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 요점정리 (1) - 용어 정의, 유효숫자, 온도, 단위 계산
일반화학에서 문제로 출제되는 영역을 요점정리 해볼께요.
보통 1단원에서는 기초부분을 설명합니다.
문제 제출의 핵심은 용어정의 / 유효숫자 계산 / 단위 계산 입니다.
===================================================================
[용어 정의]
원자 -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
국제 단위계(SI단위계) - 과학자들의 국제적 합의에 의해 정해진 단위계(미터계 사용)로 가장 널리 사용됨
질량 - 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킬 때 물체 자체의 저항, 물체의 고유한 값
유효숫자 - 오차를 생각해도 믿을 수 있는 숫자, 항상 확실한 자릿수 + 불확실한 첫번째 자릿수
정밀도 - 측정값끼리 비슷한 정도
정확도 - 측정값이 참값에 가까운 정도
우연오차 - 특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오차
계통오차 - 특정한 원인이 정해진 오차
단위(환산)인자 - 단위를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수식
================================================================================
[유효숫자]
1. 유효숫자 세는 방법
① 0이 아닌 정수는 모두 유효숫자
ex) 778.32 → 유효숫자 : 7,7,8,3,2
② 숫자 앞부분에 오는 0은 유효숫자가 아님
ex) 0.014 → 유효숫자 :1,4
③ 숫자 가운데에 오는 0은 유효숫자
ex) 481.021 → 유효숫자 : 4,8,1,0,2,1
④ 숫자 끝에 오는 0은 소수점일 경우에만 유효숫자
ex) 0.023010 → 유효숫자 : 2,3,0,1,0
ex) 1990 → 유효숫자 : 1,9,9
⑤ 완전수 - 직접 세거나, 정의에 의해 정해지는 수
완전수는 유효숫자의 계산에서 고려 X
2. 유효숫자 계산 방법
① 곱셈, 나눗셈
→ 유효숫자의 개수가 가장 적은값 에 맞춤
즉, 계산 중에 가장 낮은 유효숫자의 개수 = 결과값의 유효숫자 개수
ex)
2.4의 유효숫자가 2개이므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도 2개로 맞춰줍니다.
② 덧셈, 뺄셈
→ 정밀도가 가장 낮은값 에 자리를 맞춤
즉, 소수점 아래 숫자가 제일 적은 값에 맞춤
ex)
33.1이 소수점 아래 숫자가 하나로 가장 낮은 정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결과값도 소수점 아래 숫자를 하나로 맞춤
③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혼합
→ 사칙연산 순서대로 계산하며, 과정마다 따로 위의 유효숫자 계산하는 규칙에 따라 계산
================================================================================
[단위 계산]
ex) 인치 → 센티미터 로 바꾸기
위 식에서 양변을 2.54 cm 로 나누면
즉,
or
Q. 10.2인치를 센티미터로 바꾸기
A.
================================================================================
[온도]
크게 섭씨(˚C), 화씨(˚F), 켈빈(K) 온도로 분류
[켈빈온도 = 섭씨온도 + 273.15]
[섭씨온도 = 켈빈온도 - 273.15]